-
1.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은 문제행동과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그러나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다. 2.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
1. 자극 일반화와 자극 변별의 차이점을 쓰시오. 2. 반응 일반화의 예시를 쓰시오
-
1. 일반화는 어떤 행동이나 기술을 가르쳐진 조건과 다른 조건에서 그 행동과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유지는 가르침이 끝난 후에도 행동이…
-
궁극적 기능성 준거의 도달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 전략 중 2가지를 쓰시오.
-
궁극적 기능성 준거는 중도 지적장애 학생을 교수할 때 고려해야 할 대표적인 원리로, 성인기의 통합된 환경에서 최대한 독립적이고 생산적으로 활동하…
-
1. 중심반응훈련은 자폐성 장애학생에게 반드시 필요한 중심 영역을 중재하고 일반화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2. 중심축반응훈련의 목표는 다음…
-
기능적 기술을 지도하는 목적은 기술의 일반화이다(즉, 실제 수행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수행). 이를 위해 지역사회 중심교수 방법이 효과적으로 활용…
-
'마트에서 물건사기' 기술의 지도 예시를 쓰시오(단, 지역사회 모의수업, 지역사회 참조수업, 지역사회 중심수업의 방법을 각각 적용할 것). 지역…
-
1. 일반사례교수법은 지역사회중심 교수전략으로 제안된 실제 일반화를 시켜야 할 환경에서 있을 수 있는 다양한 자극 조건에서 교수를 실시하는 방법…
-
제목: 2021년 기본 이론-행동수정-변별훈련과 자극통제 강의: 김태구 교수 교재: 2022학년도 대비 thePASSWORDplus I. 299…
-
과잉일반화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지도 방법 1가지를 쓰시오(단, 인지 및 개념의 범위에서 고려할 것).
-
변별자극과 변별자극 이외의 자극들(S-deltas)의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을 변별이라고 한다. 변별 능력은 차별강화를 통해 학습된다(즉, 변별능…
-
중심축 반응(행동)은 중심에서 축이 되어 다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으로, 동기, 복합단서에 대한 반응, 자기주도, 자기조절(자기관리),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