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화교육은 청각장애 학생이 일반사회의 언어(즉, 우리나라는 한국어)를 배워야 한다고 믿는 교육철학에 기초한다. 따라서 구어체계가 아닌 수어와 같은 의사소통 방법은 허용하지 않는다.
구화교육은 직접적이고 엄역한 말소리 교육을 통한 전형적인 구어 발달을 강조한다. 따라서 보청기 사용을 중요시하며, 청능훈련과 독화(말읽기, 말의 시각적 수용) 능력을 강조한다.
-
일반 보처기는 화자의 말소리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음까지 증폭시켜 말소리 명료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화자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청취 음압도 낮아지게 된다. FM 보청기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보청기로, 주로 학교와 같이 화자의 말소리만을 집중적으로 증폭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1) FM 보청기는 신호대잡음비율을 개선한다. 즉, 화자의 말소리는 집중적으로 마이크에 입력되어 증폭되고, 소음이나 반향효과 등은 마이크에 입력되는 비율이 감소된다. 2) FM 보청기는 FM 신호를 활용하기 때문에 소리와의 거리가 멀어져…
-
인공와우는 보청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양측 고도 이상의 감각신경성 청각장애 학생에게 매우 유용한 청각 보조장치로, 와우 내에 삽입된 전극이 직접 청신경을 자극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인공와우는 인간의 말소리를 잘 들을 수 있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인공와우는 체외부(송화기, 어음처리기, 송신기)와 체내부(수신기, 전극)로 구성된다. 체내부의 전극은 보통 22개이며, 각 전극은 소리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체외부의 어음처리기에는 각 전극의 T-level(수용 가능한 전기신호의 최솟값)과 C-…
-
5개음 검사는 약 1.8m 거리에서 말소리를 대표하는 5개음의 개력적인 청취 능력을 평가한다. 5개음은 ee, oo, ah, sh, ss이다.
기본 5개음에 250Hz의 m음을 추가하여 확장한 것이 6개음 검사이다. 1) 6개음을 검사음으로 선정한 이유는 전체 말소리를 대표하는 어음들이기 때문이다. 2) m음은 감각신경성 청각장애로 고주파수 대역의 소리는 들을 수 없으나 저주파수 대역의 청력이 잔존하는 학생의 말소리 청취 능력을 평가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6개음 검사를 실시할 때에는 입모양을 가려야 한다. …
-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은 1) 1차 언어로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언어인 자연수어를 가르치고, 국어의 읽기와 쓰기를 위해 2차 언어로 한국어를 가르친다. 또, 2) 청각장애인들의 문화(농문화)를 제1문화로 보고, 건청인의 문화를 제2문화로 인정하고 학습하도록 한다.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은 농아동이 농문화를 받아들여 농인로서의 건강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도록 지원한다.
-
총체적 의사소통법은 의사소통 유형에 제한을 두지 않고, 말, 독화, 청취, 수어단어, 지화, 인쇄물 등 가능한 의사소통 체계를 모두 활동하도록 하는 접근법이다. 즉, 총체적 의사소통법의 적용 목적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적인 입장에도 불구하고 총체적 의사소통법에서는 구어를 1차 언어 또는 수업언어로 지지한다.
총체적 의사소통법을 적용하는 수업에서 교사는 구어와 수어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동시적 의사소통법(또는 결합법)이라고도 한다. 이때 사용하는 수어는 국어 문법체계를 따르는 문법수화(문법…
-
소음성 청각장애는 소음에 의해 내이가 손상된 경우에 발생한다.
1) 소음성 청각장애는 초기 4,000Hz의 손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C5 dip), 이후 2,000~3,000Hz까지 손상이 파급된다. 따라서 2) 4,000Hz 35dB 근처에 위치하는 /SS/음(한국어 음소 ㅅ, 마찰음)의 청취에 제한이 발생하며, 3) 진단에는 4,000Hz 역치를 반영하는 6분법이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
1. 청신경은 말초와 중추 모두에 포함된다. 2. 전음성청각장애는 기도손상, 골도정상이다. 감각신경성청각장애는 기도손상, 골도손상, 손상정도는 같은 정도이다. 3. 혼합성청각장애는 기도손상, 골도손상, 손상정도는 기도손상이 더 심하다. 4. 청각처리장애는 말초는 정상이지만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 어려움이있다.
-
1) 청각기관은 크게 말초 영역의 외이, 중이, 내이, 청신경, 그리고 중추 영역의 청신경, 대뇌청각피질로 구성된다. 청신경은 분포 범위상 말초 영역과 중추 영역 모두에 포함된다. 2) 이 중 외이와 중이를 전음성 기관, 내이와 청신경을 감각신경성 기관으로 구분하며, 전음성 기관은 소리의 전달과 증폭, 감각신경성 기관은 소리의 감지, 인지에 관여한다.
소리의 전달 경로는 크게 기도와 골도로 구분한다. 기도는 외이-중이-내이-청신경을 거치는 경로이고, 골도는 두개골의 진동을 통해 내이-청신경을 직접적으로 거치는 경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