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 분류
감각처리패턴에 따른 학습전략 조정
컨텐츠 정보
- 3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 낮은 등록은 높은 신경학적 역치와 수동적인 자기조절을 나타낸다. 1) 시각적 지원: 감각에 접근하는 위치에 지원물을 배치한다. 2) 혼자만의 공간: 진정시키는 감각에 대한 아동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물품을 제공해야 한다. 3) 미리 보여주기: 아동의 높은 역치를 충족 시켜줌으로써 다음 과제를 준비시킨다.
- 감각 추구는 높은 신경학적 역치와 능동적인 자기조절을 나타낸다. 1) 시각적 지원: 주의를 유지시키기 위한 지원을 제공한다. 2) 혼자만의 공간: 아동의 높은 역치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감각을 포함시킨다. 3) 미리 보여주기: 다음 활동의 역치를 충족시키는 감각이 포함된 즐거운 과제에 참여하게 한다.
- 감각 민감은 낮은 신경학적 역치와 수동적인 자기조절을 나타낸다. 1) 시각적 지원: 낮은 감각적 요구로 접근할 수 있도록 시각자료를 배치한다. 2) 혼자만의 공간: 환경 내에서 진정시키는 감각을 제공한다. 3) 미리 제공하기: 과제에 앞서 미리 식별할 수 있는 감각을 제공한다.
- 감각 회피는 낮은 신경학적 역치와 능동적인 자기조절을 나타낸다. 1) 시각적 지원: 사용자에게 친숙한 감각으로 시각자료를 제공한다. 2) 혼자만의 공간: 선호하는 감각이 있는 안전한 공간을 구성한다. 3) 미리 보여주기: 새로운 과제를 소개할 때는 친숙한 감각을 제공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