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경아입니다.
자폐성 분류

짧은 만화 이야기

컨텐츠 정보

본문

1. 짧은 만화 이야기는 상황에 대한 대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또한 많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들이 보이는 시각적 강점을 활용하여 사회적 행동에 대한 시각적 표상(visual representation)을 제공한다.

2. 8컷의 기본적인 생각 풍선말 풍선이 포함된다. 이러한 시각적 표상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이 실제로 생각하거나 느끼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3. 막대기 그림(머리를 동그라미로 몸을 선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일명 봉선화라고 함)은 빠르고, 그리기 쉽고, 알아보기 쉽다. ‘감정의 팔레트느낌 온도계와 같이 감정을 이해하는데 시각적 기초로 색깔을 활용할 수 있다. 학생과 교사는 특정한 감정을 표상하는 색깔을 스스로 정하여 사용하거나 연재만화대화 지침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특정한 감정과 연계된 색깔을 사용할 수 있다.

4. 짧은만화대화는 상황이야기와 같이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상호작용 대상자들과 교류하는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사회적 담화 방법의 한 유형이다.

5. 이 방법은 상황이야기와 같이 자폐성 장애인이 많은 어려움을 겪는 사회적 상황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짧은만화대화는 자폐성 장애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는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 즉 다른 사람의 생각과 믿음, 동기와 같은 다른 사람의 마음이해를 지원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6. 짧은 만화 이야기의 적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짧은만화대화는 8컷 이하의 매우 짧은만화 형식을 사용한다. 만화는 자폐성 장애 학생의 강점 영역인 시각적 정보와 학생들이 좋아하는 만화 형식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2) 학생과 의사소통 대상자가 서로 그림을 그리면서 대화 상황을 생각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짧은만화대화는 학생을 잘 알고 신뢰관계가 형성된 부모와 전문가들이 사용할 수 있다. (4) 칠판이나 종이 등과 같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5) 짧은만화대화를 하는 동안 정서를 표현하기 위하여 색깔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화가 났다거나 초록색은 기분이 좋다거나 하는 상황을 표현할 수 있다. (6) ‘대화 상징 사전사람 상징 사전같은 상징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고 이야기를 나눈다. 이러한 상징사전은 개인의 필요에 따라 재구성하거나 새롭게 개발할 수 있다.

7. 짧은 만화 이야기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내용

짧은만화대화 소개하기

짧은만화대화는 부모와 교사와 같이 아동을 잘 아는 사람이 소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모나 교사는 짧은만화대화를 소개할 때 수용적인 태도로 이야기를 시작해야 한다. 또한 학생이 대화를 이끌어 나가도록 하고 대화를 이해하거나 생각을 표현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짧은만화대화를 하는 동안에는 학생이 주로 쓰고/그리고/말하게한다.

대화를 처음 하는 과정에서 부모나 교사가 질문하고 학생은 그 질문에 대한 반응으로 쓰고/그리고/말하는형태로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아동은 말하면서 그리는 것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짧은만화대화 상징 사전 소개하기

대화 상징 사전: 기본적인 대화 개념인 듣기, 방해하기, 조용한 말, 시끄러운 말, 말하기, 생각하기등으로 구성된 8개의 상징을 포함한다. 짧은만화대화를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대화 상징 사전으로 시작하고 이 상징에 익숙해지면 점차 다른 상징을 추가한다.

사람 상징 사전: 사람 상징은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상징이다.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람 사전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사람 상징은 가능한 한 대화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단순하고 빨리 그릴 수 있어야 한다.

가벼운 잡담으로 대화 시작하며 관련 내용 그림으로 표현하기

짧은만화대화와 일반적인 대화의 차이는 그림을 그린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대화는 얼굴을 마주보며 이야기하지만 짧은 만화대화는 옆에 앉아서 그림을 그리며 대화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자리 배치는 학생이 대화를 주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짧은만화대화는 가벼운 잡담과 같이 모든 대화가 진행되는 장소에서 시작될 수 있다. ‘날씨 이야기주말에 뭐 했니등과 같은 주제는 대화를 시작하기에 아주 좋은 일반적인 주제이다. 또한 날씨는 그림으로 표현하기에도 매우 적절하다(햇볕, , 구름 등).

대화를 하면서 나타난 상황을 그림으로 표현하기

가벼운 잡담을 마친 후, 이야기 주제를 소개한다.

대표적인 장소 상징은 그림판 왼쪽 위에 자리하게 한다. 장소 상징은 이야기 속에 나타난 장소에 대한 그림이다. 예를 들어, 학생이 어제는 놀이터에 있었어요.’라고 말하며 작은 그네를 왼쪽 위에 그릴 수 있다. 그와 관련된 그림을 그 옆에 계속 그려 나갈 수 있고, 다른 주제가 시작되거나 그 영역에 그림이 많아질 경우 새로운 공간에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생이 어려움을 겪는 장소가 짧은만화대화의 주제가 될 수 있다. 학생이 가능한 한 빨리 그림을 그리고, 부모/전문가는 질문을 하면서 학생의 그림을 안내하거나(“너는 어디 있니?)보다 이해하기 쉽게 명확히 말해 줄 수도 있다(“너를 그려보렴.”, “너 주변에 누가 있었는지 그려보렴.”)

단계

내용

정보수집하기

부모/전문가가 학생에게 상황과 관련된 질문을 하여 그림 완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너는 어디 있니?(학생이 사람그림을 그린다.)

거기 누가 또 있었지?(학생이 사람을 그린다.)

너는 뭐 했어?(학생이 관련된 물건이나 행동에 대한 그림을 그린다.)

뭐 했니? 다른 사람은 뭐했어?(학생이 관련된 물건이나 행동에 대한 그림을 그린다.)

너는 무슨 말했어?(대화 상징을 사용한다.)

다른 사람들은 뭐라고 말했어?(대화 상징을 사용한다.)

네가 그렇게 말할 때 무슨 생각을 했어?(생각 상징을 사용한다.)

다른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거나 행동할 때 다른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생각 상징을 사용한다.)

부모나 전문가의 관점을 학생과 공유하기

학생이 새로운 생각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을 때, 대화 중 가장 자연스러운 시간을 기다려 부모나 전문가의 관점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학생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과 정확한 사회적 정보를 공유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어려운 질문은 다른 사람의 생각과 동기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만일 학생이 질문에 답하기를 거부하거나 답할 수 없다면 정확한 답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이야기 순서와 내용 구조화하기

대화를 유지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려면, 학생이 순서 없이 여러 가지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려 할 경우, 짧은 이야기 상자를 활용하여 사건의 순서에 따라 이야기를 진행하게 한다.

대화 요약하기

상황에 대한 새로운 해결 방안을 파악하기 전에 학생에게 먼저 대화를 요약해 보도록 하여 상황의 핵심을 검토하게 할 수 있다.

학생이 스스로 요약할 수 없다면 그림을 하나씩 지적하면서 상황을 설명하게 한다. 사건이 발생한 순서에 따라 그림에 숫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해결 방안 모색하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최근댓글


알림 0